청라 지역 주민단체들이 들이 27일 오후 제3연륙교 명칭 관련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10.27 cjsgkwp0@gmail.com 박영훈 기자
인천 청라지역 시민단체들이 제3연륙교 명칭 논란을 둘러싼 정치권의 공방과 인천시의 미온적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다. 단체들은 “이미 확정된 ‘청라하늘대교’ 명칭을 두고 감정적 소모전을 벌이는 것은 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인천시는 정치적 눈치가 아닌 행정 책임으로 사안을 정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청라미래연합, 청의단, 청라2동주민자치회, 청라상인연합회 등 12개 단체는 27일 인천시청 본관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권이 청라와 영종 간 지역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며 “인천시는 더 이상 방관하지 말고 명칭 논란을 공식적으로 종결하라”고 촉구했다.
단체들은 “제3연륙교 명칭은 인천시 지명위원회가 지난 7월 ‘청라하늘대교’로 확정한 사안임에도 일부 정치인들이 ‘영종 명칭이 빠졌다’며 불필요한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라 주민들은 다리 건설비의 절반을 부담하고도, 시와 정치권이 지역 간 감정 대립을 조장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이런 갈등은 결국 인천시 행정이 제대로 조정하지 못한 결과”라고 비판했다.
시민단체들은 특히 인천시가 사태 수습보다는 ‘눈치 보기 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인천시가 정치권 눈치를 보며 결정을 미루는 사이, 지역사회는 분열되고 있다”며 “지명위원회 결정을 존중하지 않는다면 인천시의 행정 신뢰는 무너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지금 필요한 것은 다리 이름이 아니라 개통 이후 인천의 미래를 준비하는 일”이라며 인천시에 4대 과제 추진을 요구했다.
▲통행료 무료화로 인한 교통체증 및 환경 대책 마련 ▲통행료 무료화 재원 조달의 현실적 검토 ▲청라·루원·검단 상권 침체 방지책 마련 ▲청라·영종·송도 공동발전을 위한 도시 브랜드 전략 수립 등이다.
청라미래연합 관계자는 “청라하늘대교는 인천의 관문이자 상징이 될 다리인데, 정치권은 오히려 이를 갈등의 도구로 삼고 있다”며 “인천시가 행정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하면 시민 불신만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단체들은 또 “인천시가 교통, 환경, 경제 등 실질적 준비에 나서지 않으면 개통 이후 대혼란이 불가피하다”며 “시민이 주도하는 현안 대응 체계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들은 이번 논란을 계기로 인천시가 행정적 중립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