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 1단계 대상지 / 사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강화군 남단 일대를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한 가운데, ‘산업 중심 개발’ 대신 대규모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전락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7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인천경제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총면적 6.32㎢)의 주거 용지 비율은 13.3%(0.84㎢)로, 기존 경제자유구역인 청라(13.1%), 영종(12.0%), 송도(8.1%)보다 높았다.
계획 인구는 2만9천679명, 주거 용지 대비 인구밀도는 1㎢당 약 3만5천명으로 분석됐다. 이는 영종의 1㎢당 2만9천명보다 높은 수준으로, 경제자유구역의 본래 취지인 ‘산업 중심 개발’이 아닌 고밀도 주거 중심 사업으로 흐를 가능성이 지적된다.
문제는 기업 투자 수요 확보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강화 남단 경제자유구역 내 산업 용지 면적은 155만9천515㎡(전체의 24.6%)이지만, 인근에 영종 미개발지(바이오 특화단지), 검단2산단, 계양테크노밸리, 부천 대장신도시 등 경쟁 지역이 밀집해 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 자문회의에서도 지난해 10월과 올해 4월, “선투자 수요 확보 후 지정 원칙 필요”, “산업용지 수요 분석 재점검” 등 기업 유치의 불확실성을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인천경제청은 “셀트리온·롯데바이오로직스 등 42곳, 중국 바이두 외 52곳, 가천길재단 등 3곳 등 총 97곳이 입주 의사를 밝혔다”며 “지속적으로 투자 유치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허 의원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LOI(투자의향서)나 MOU(양해각서)가 실제 투자로 이어진 사례는 드물다”며 “인천경제청이 제시한 LOI가 실질적 기업 유치로 연결될지는 미지수”라고 반박했다.
인천경제청은 송도 11공구 토지 매각 수입 등 약 1조3천억 원을 선투입해 강화 남단 부지를 매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기업 유치 부진이나 분양 지연 시 막대한 재정 압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허 의원은 “경제자유구역의 목적은 기업 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이라며 “송도·청라의 지연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강화 남단이 같은 전철을 밟지 않도록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