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아파트단지에서 체력 단련하는 중국인 추정 남성들 (연합뉴스 제공)
"바로 저기에 한국 청년들이 갇혀있다는 건데…그저 바라보기만 해야 한다는 것이 답답할 뿐입니다."
현지 시간 26일 오후 2시께, 캄보디아 프놈펜 한 고급 아파트단지를 올려다보며 14년 차 교민 A씨가 한숨을 내쉬었다. 특수전사령부 장교 출신인 A씨는 2022년 10월부터 캄보디아 범죄 단지에 갇힌 한국인 10여명을 구조해왔다.
그는 지난 19일 한 캄보디아인으로부터 "젊은 한국인 8∼9명이 아파트와 주택에 감금돼있다"며 "사무실에는 10대 안팎의 컴퓨터가 놓여있는데 하루에 무조건 4∼5명은 폭행당한다"는 제보를 받았다.
중국인·한국인 '보스'와 중간관리자 등 4명이 조직을 이끄는 데, 이달 초 캄보디아 당국의 단속이 강화되자 아파트와 주택 등 세 곳으로 찢어져 은신처를 옮겼다는 것이다.
A씨는 "언론에 보도된 대단지들은 폐쇄하고 조직원들이 국경을 넘었으나 아직 많은 소규모 조직이 호화 주택단지에 숨어 감시의 눈이 약해지길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제보자는 A씨에게 숙소 주소와 방 호수를 알려주며 "매일 맞으면서 펑펑 우는 청년들이 너무 불쌍해서 한국 경찰들이 꼭 도와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고 한다.
X
'한국인 감금 지목' 아파트단지 (연합뉴스 제공
기자가 A씨와 함께 제보자가 지목한 아파트단지를 찾아가 보니 문신이 가득한 중국인 추정 남성 3명이 '메콩강 뷰' 수영장에서 체력 단련을 하고 있었다.
2019년 중국 자본을 들여 지어진 이 아파트는 54층 규모로 방 일부가 관광객을 위한 콘도로 사용된다. 로비에는 경비원들이 지키고 있어 카드키가 없으면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는 구조였다.
제보자가 지목한 숙소 베란다에는 빨랫감이 건조대에 널려있어 누군가 최근까지 이곳에서 생활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한국인 피해자 2∼3명과 보스들이 머물고 있다는 고급 주택 앞에는 다른 집들과 달리 일본제 밴 차량과 외제 소형 버스가 주차돼있었다. 대사관에서 3㎞ 떨어진 이 주택은 단지 안에서도 가장 크고 화려했다.
A씨는 "이들 차량에는 20명 안팎이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긴급한 상황이 생겼을 때 사람들을 운반하려는 용도로 대형 차량을 준비해놓은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X
'한국인 감금 지목' 주택단지 (연합뉴스 제공)
A씨는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지난 22일 오전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 측에 이 같은 사실을 알렸으나 대사관의 반응은 뜻밖이었다고 한다.
"신고 요건이 충족되지 않아 당장 조처하기 어렵다"는 대사관 측의 답변에 "지금 같은 분위기에서 한국인이 갇혀있다고 하면 허위제보라고 해도 당장 가야 하는 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는 것이 A씨의 주장이다.
대사관은 피해자가 직접 위치와 연락처, 건물 사진, 여권 사본 등을 첨부해 신고해야 현지 경찰에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결국 A씨는 현지 헌병대와 직접 접촉해 구출을 시도했다. A씨가 대사관 관계자에게 이 같은 사실을 알렸으나 "대사관이 도울 일이 있으면 알려달라. 신변이 걱정된다" 등의 다소 미온적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
양국 관계가 악화하며 헌병대마저도 '한국 정부가 요청하기 전까지는 움직일 수 없다'며 출동을 고사하고 있다. 일부 헌병대 간부는 한국인 구출에 수고비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하며 A씨는 속만 태우고 있다.
A씨는 "국정감사에서도 정부 당국자들이 잘못한 게 없고 최선을 다했다는 식으로 일관하며 '말장난'을 하는 것처럼 느껴졌다"며 "이 모습을 지켜본 교민들 또한 매우 분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는 몇 명을 추가한들 이렇게 해서는 무엇이 바뀌겠느냐"며 "(범죄조직이) 숨어버리면 더 잡기 힘들 텐데 현지 경찰과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외교적 역량이 필요한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취재가 시작되자 한국대사관은 A씨에게 제보자의 신원과 연락처를 묻는 등 자세한 경위 파악에 나섰다. 대사관은 연합뉴스 질의에 "이미 조치 중인 사안이나 상세 내용을 공유하기는 어렵다"고 해명했다.
대사관 관계자는 "신고 접수 요건에는 맞지 않지만 현지 경찰에 관련 내용을 전달하고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X
'한국인 감금 지목' 주택단지 (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