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기준 외국인 주택소유현황 / 국토부 제공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2025년 6월 말 기준 외국인의 국내 토지·주택 보유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의 국내 주택 보유량은 총 10만4,065호로 지난해 말(10만호) 대비 3.8% 증가하며 여전히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증가율은 직전 반기(5.4%)보다 1.6%p 감소해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정부는 지난 8월 21일 서울 전 지역과 경기·인천 일부 지역을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점을 고려할 때, “올해 말까지 외국인의 주택 보유 증가율은 추가로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지정은 주택 거래만을 대상으로 하며, 외국인의 수도권 집중 매수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외국인의 국내 주택 보유는 여전히 수도권 편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전체 10.4만호 중 경기 4.1만호, 서울 2.4만호, 인천 1.1만호가 집중돼 있으며, 이는 전체 외국인 보유 주택의 약 74%에 달하는 규모다. 비수도권에서는 충남(0.6만호), 부산·경남·충북(각 0.3만호), 경북·제주(각 0.2만호) 순으로 나타났다. 시군구별로는 산업단지 인근 지역이 두드러졌는데, 경기 부천·안산·수원·시흥·평택과 인천 부평구 등이 대표적인 집결지로 파악됐다.
국적별로는 중국 국적자 보유량이 5.9만호로 최다였으며, 미국 2.2만호, 캐나다 0.64만호, 대만 0.34만호, 호주 0.20만호, 베트남 0.18만호, 일본 0.16만호가 뒤를 이었다. 외국인 보유 주택은 국내 전체 주택(1,965만호)의 0.53% 수준이다.
2025년 6월 기준 외국인 토지소유현황 / 국토부 제공
토지 보유 현황도 함께 집계됐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는 총 2억 6,829만㎡로 전체 국토면적의 0.27%를 차지했다. 토지 증가율 역시 지난해 말 대비 0.15% 증가로 직전 증가율(0.85%)보다 0.7%p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증가세 둔화가 확인됐다. 국적별 비중은 미국이 53.3%로 가장 크고, 중국(8.0%), 유럽(7.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지역은 경기(18.5%), 전남(14.7%), 경북(13.5%) 순으로 많이 분포했으며, 용도는 기타(67.7%), 공장용(22.0%), 주거용(4.3%) 비중이 높았다. 보유 주체는 외국국적교포가 55.4%로 가장 많았고, 외국법인 33.6%, 순수외국인 10.7% 순이었다.
정부는 토지거래허가제 지정 이후 나타나는 변화들을 면밀히 추적하며 외국인 부동산 보유 추세를 지속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주택 가격이 민감한 수도권에서 외국인 매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가 조치 필요성도 검토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