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여당 비판하는 장동혁 대표 (연합뉴스 제공)
국민의힘 내에서 12·3 계엄 사태 1년을 앞두고 당 차원의 사과·반성 메시지를 내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도층 유입을 위해 계엄 사태를 사과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절연해야 한다는 의원들의 공개적인 요구에 당 지도부가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자 의원들이 개별 사과를 추진하며 사실상 지도부 압박에 나서고 있다.
김재섭 의원은 27일 CBS 라디오에서 "지도부에서 사과와 성찰 메시지가 나가면 좋겠고 그게 안 되면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목소리를 내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초·재선 의원을 중심으로 계엄 1주년을 앞두고 사과 성명을 준비하고 있다는 보도가 맞느냐'는 질문에 "제가 알기로는 꽤 많은 의원이 뭐라도 좀 해야 하지 않느냐는 생각으로 하고 있다"고 답했다.
성명에 참여하는 의원 규모에 대해선 "(10명이) 넘어갈 수도 있다고 본다"며 "저는 당연히 (참여할 것). 김용태 의원도 당연히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소한 원내 교섭단체 수준으로 20명 정도는 돼야 한다는 게 제 바람"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의원 대다수는 아주 심각한 위기의식과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다. 실제로 (성명에) 이름을 올리는 여부와 무관하게 의원들 사이에서 사과·반성해야 하지 않느냐는 컨센서스가 상당히 있는 것은 맞는다"고 강조했다.
해당 성명에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 내용이 담기냐고 묻자 "너무 당연한 얘기"라고 답했다.
같은 당 김용태 의원도 SBS 라디오에서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구속영장이 기각된다고 하더라도 지도부에서 12월 3일에는 계엄과 관련한 반성 메시지가 그대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지도부 메시지에는) 총체적인 과오에 대한 반성과 다짐이 있어야 하고, 12·3 계엄에 대한 규정을 다시 내릴 필요가 있다"며 "의원들은 지도부 입장을 기다리고 있고, 만에 하나 입장을 내지 않는다면 다양한 의견들이 모아져서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당 지도부의 사과를 요구하는 글을 올린 데 이어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공개 발언을 통해 지도부 사과를 촉구했다.
개혁 성향 재선 의원들도 최근 장 대표를 만나 계엄 1주년 메시지에 사과·반성 메시지가 담겨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재선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12·3 메시지에 담겨야 할 내용에 대한 의견을 전했지만 아직 회신받지는 못했다"며 "당 지도부의 결단을 기다리며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X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 [연합뉴스 제공]
국민의힘 의원들의 이런 움직임은 장동혁 대표가 비상계엄 1년을 앞두고 오히려 계엄 사과와는 반대되는 행보를 보이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장 대표는 지난 22일부터 연일 지방을 순회하며 여당의 공세에 맞선 내부 단결을 강조하는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
그는 지난 25일에는 여당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는 이른바 '윤어게인' 세력인 아스팔트 극우에 대해서도 "이곳(광장)에 나와 대한민국과 자녀를 위해 소리치는 것을 아스팔트 세력이라고 손가락질당하는 게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당내 이견이 오히려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계엄에 대한 사과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지금 말할 단계는 아닌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