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동 329-38 일대 모아타운 조감도 / 사진 서울시 제공

중랑구 중화동 329-38 일대가 20년간의 구역 지정과 해제, 도시재생 지연 등 우여곡절을 끝내고 ‘모아타운’으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한다. 서울시는 대폭적인 규제 완화와 촘촘한 공정관리를 앞세워 기존 9년이던 사업 기간을 최종 7년으로 더 줄여 2030년 2,801세대 준공을 목표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25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중화동 모아타운 현장을 방문해 사업 진행 상황을 직접 확인하고 주민 의견을 청취했다. 서울시는 현재 116개 모아타운, 340개 모아주택 구역을 통해 총 12만 호 공급 기반을 확보했으며, 이 가운데 3.5만 호는 이미 본격 추진 중이다. 이는 2031년까지 목표한 서울시 정비사업 착공 물량 31만 호 중 핵심 공급원이다.

중랑구 중화동 329-38 일대 현재 모습 / 사진 서울시 제공

중랑구에는 서울 전체 116곳 중 16곳(2만 3,845호)이 몰려 있어 ‘모아타운 최대 집중 지역’으로 꼽힌다. 구는 2026~2031년 동안 착공 1만 호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서울시는 중화동 329 모아타운을 강북권 공급 확대의 선도 모델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중화동 모아타운은 9만 9,931㎡ 규모로 2003년 뉴타운, 2011년 재정비촉진구역으로 지정됐다가 2014년 해제되며 장기간 정체됐다. 그러나 2023년 모아타운으로 선정된 뒤 작년 11월 관리계획 승인·고시, 올해 11월 통합심의 통과까지 2년 3개월 만에 절차를 마무리하며 속도전을 펼치고 있다.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세입자 대책 지원 등 규제 완화와 통합심의·승인 절차의 신속 처리로 기존 평균 4년 소요되던 절차를 절반 가까이 줄였다. 서울시는 앞으로 사업시행인가 → 이주 → 착공 전 단계에서 공정관리 강화를 통해 사업기간을 최종 7년으로 단축한다는 방침이다.

오세훈 시장은 “중화2동 모아타운이 서울시 모아타운의 선도사업지로서 주택공급 확대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조합원 지위양도 제한, LTV 규제 등 ‘10.15 규제’로 사업 지연 우려가 있지만 정부와 적극 협력해 민간 공급 확대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내년 1월 시행되는 ‘모아주택 사업성 보정계수’와 임대주택 인수가격(기본형건축비 80%) 상향을 통해 조합원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중화동 329 모아타운에 사업성 보정계수 1.5를 적용하면 비례율이 약 10% 증가해 조합원 평균 분담금이 약 7천만 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주민과의 직접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그동안 시청에서 진행했던 ‘모아타운 공정촉진회의’를 12월부터 현장으로 확대 개최한다.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규제 완화와 제도 개선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모아주택·모아타운 등 서울시 정비사업에 병목현상은 있을 수 없다”며 “강북 지역 주택공급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현장 중심 소통과 체계적 제도 지원으로 ‘다시, 강북전성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