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추진중인 용산국제업무지구 조감도. /서울시 제공

서울의 ‘심장부’ 용산이 10년 만에 초대형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서울시가 오는 27일 ‘용산서울코어(용산국제업무지구)’ 기공식을 확정하면서, 최근 정치권 일부에서 제기됐던 “용산정비창 2만호 주택공급” 구상은 사실상 힘을 잃게 됐다.

서울시는 16일 “20일 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 인가 고시를 마치고, 27일 대규모 기공식을 연다”며 “국제업무 중심의 개발 계획은 흔들림 없이 추진된다”고 밝혔다.

기공식에는 오세훈 시장과 시민 5천명이 참여하며, 시민 참여 신청은 서울시 누리집에서 안내된다.

개발 구역은 용산구 한강로3가 40-1 일대 약 45만6천~50만㎡ 규모로, 과거 철도차량 정비기지가 있던 서울 핵심 입지다.

서울시는 이곳을 국제업무존 업무복합존 업무지원존 3개 구역으로 나누고, 서울역–용산역–한강을 잇는 입체복합 수직도시(Vertical Compact City)로 구축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특히 국제업무존은 기존 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용도 상향돼 초고층·고밀도 개발이 가능해진다. 서울시는 업무·주거·문화·녹지가 한 건물과 도보권 안에서 모두 해결되는 ‘콤팩트시티’ 모델을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인 SH·코레일이 공동 시행자로, 민간은 이후 필지별 개발 방식으로 참여한다.

2028년 기반시설 공사 완료 후 2030년 기업·주민 첫 입주가 목표다.

서울시는 “2030년대 초 글로벌 기업 헤드쿼터(본사) 유치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경제 효과는 연 1만2천명 고용 연 3조3천억 생산 유발로 추산된다. 정비창 부지에는 지구 내 6천호, 주변지역 7천호 등 총 1만3천호 주택 공급이 기본 계획이다.

여당 일부에서 제기한 ‘용산정비창 2만호 공급’ 카드는 사실상 어렵다는 것이 서울시 판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뉴스 핫라인과의 통화에서 “정비창 부지 전체를 주택으로 돌려도 2만호는 수용이 어렵다고 전하면서 오히려 용산 전체 개발이 몇 년씩 지연될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기존 계획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공급량 일부 상향은 국토부와 협의해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용산서울코어는 서울의 미래 100년을 여는 도시 재창조 프로젝트 이면서 서울을 세계 5대 글로벌 도시로 도약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올해 말 기반공사 착수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 조성토지 공급계획 승인 후 2027년 말 첫 분양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