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건물로 가득찬 서울시 전경 / 사진 연합뉴스 제공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5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KB부동산이 23일 발표한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72% 올라 2020년 9월(2.00%)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최고 상승률이었던 지난달(1.46%)보다도 상승폭이 0.26%p 확대되며 18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번 조사는 11월 10일 기준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묶은 10·15 대책 이후 시장 변화가 반영된 수치다. 강화된 대출 규제와 실거주 의무 부여로 거래량은 줄었지만, 매물 감소와 향후 가격 상승 기대감이 맞물리며 소수의 고가 거래가 지수를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에서는 한강벨트 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동작구(3.94%)가 부동산 시장 상승기였던 2018년 9월(4.41%)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것을 비롯해 성동구(3.85%), 광진구(3.73%), 마포구(3.41%), 송파구(2.74%), 중구(2.70%), 강동구(2.35%) 등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컸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하락 지역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수도권 매매가격은 0.78% 상승했다. 경기도는 6개월째 오름세가 이어졌으며, 성남시 분당구(3.81%)와 수정구(2.91%), 광명시(2.36%), 하남시(2.18%), 과천시(2.00%), 용인시 수지구(1.87%), 안양시 동안구(1.50%), 성남시 중원구(1.44%)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인천은(0.02%)소폭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41% 올라 전월 대비 오름폭이 확대됐고, 시가총액 상위 50개 단지 가격을 지수화한 ‘KB선도아파트 50’ 지수는 130.7(1.19%↑)로 21개월 연속 상승했다.
전세시장도 강세가 이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29%, 수도권 전체로 0.39% 오른 가운데 서울(0.56%)과 경기(0.37%), 인천(0.06%) 모두 상승했다. 서울은 28개월 연속 전세 상승을 기록했다. 강동구(1.58%), 광진구(1.04%), 송파구(0.90%), 동작구(0.80%) 등 한강벨트가 높은 오름폭을 나타냈다.
전국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04.1로 3개월 연속 기준선(100)을 넘어서 집값 상승 전망이 우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