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전반적으로 상승 기조에 들어섰음에도 지역, 연식, 평형별로 '초양극화' 현상이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는 지난해와 올 3분기 거래가 있었던 수도권 아파트의 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이런 양상을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X
[집토스 제공\
서울 강남구는 작년 평균가격 대비 올 3분기 가격이 6억2천287만원 올라 평균 가격상승률이 22.8%에 달했고, 서초구(5억3천861만원↑·21.2%↑), 경기도 과천시(4억5천149만원↑·27.6%↑) 등도 높은 수준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반면 경기도 평택시는 평균 2천523만원(-8.0%), 이천시는 2천231만원(-8.6%) 내리는 등 수도권 일부 외곽지역은 하락세가 뚜렷해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연식별로는 서울 아파트 시장의 경우 입주 5∼10년차 준신축이 평균 2억4천127만원 올라 13.9%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30년 초과 아파트도 재건축 기대감으로 평균 2억3천322만원(13.8%↑) 상승했다.
평형대별로도 서울의 50㎡ 미만 소형 아파트는 평균 3천425만원(4.0%↑) 상승하는 데 그쳤으나 50㎡ 이상 중형과 대형 평형은 모두 12%가 넘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집토스 이재윤 대표는 "최근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전반적인 상승 기조에 들어선 것은 사실이나 오름세의 수준과 폭이 지역, 연식, 평형별로 극명하게 갈리는 '초양극화' 장세가 펼쳐지고 있다"며 "현금 가치 하락으로 인해 '똘똘한 한 채'인 우량 자산으로 수요가 몰리는 다차원적 양극화는 향후 자산 격차를 더욱 빠르게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