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무회의 주재하는 이재명 대통령[연합뉴스 제공]
이재명 정부의 집권 초반 인사를 둘러싸고 잡음이 이어지면서 이재명 대통령과 대통령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갑질 의혹이 불거진 데 이어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의 비상계엄 옹호 전력이 돌출하면서 논란이 거듭되는 양상이다.
일단 이 전 후보자의 지명철회, 여기에 강 비서관의 빠른 사퇴로 진화에 나서는 모습이지만 앞으로도 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비난 여론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대통령실은 잔뜩 긴장한 채 여론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X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 자진 사퇴[연합뉴스 제공]
정치권에서는 우선 강 비서관의 이번 '거취 정리'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이뤄졌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강 비서관은 지난 20일 과거 자신의 저서에서 계엄을 옹호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곧바로 사과문을 발표했고, 그럼에도 사퇴 요구가 끊이지 않자 강 이틀 만인 22일 오전 자진해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런 발 빠른 조치에는 단순히 강 비서관에 대한 논란을 넘어 인사문제로 실망감을 느낀 여론을 어떻게든 달래야 한다는 판단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조치로 이 대통령의 인사를 겨냥한 비판이 잦아들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특히 일각에서는 '국민추천제'를 비롯한 새로운 인사검증 제도를 야심 차게 도입했지만, 막상 실제로는 이를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탓에 검증의 그물망이 헐거워진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강 비서관의 경우 계엄 옹호 주장이나 일제 강제 징용 부정을 비롯해 문제가 된 각종 언행이 일반 대중에 공개된 저서나 소셜 미디어를 통한 것이었다는 점도 부실 검증 의구심을 더하는 부분이다.
X
질문에 답하는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연합뉴스 제공]
대통령실은 '인사 시스템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언론이나 국민이 제기하는 의혹이 인사 검증에서 허용할 수 있는 선을 넘어갈 때 사의 표명으로 답을 드린 것이며, 시스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예상 범주를 넘어선 문제 제기들이 있었다"며 "인사 검증 시스템을 거쳤지만, 인수위 없는 정부로서 사후적으로라도 검증 한도를 넘는 문제가 발견됐을 때 책임지는 태도에 주목해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인수위 없이 출범한 '악조건'이었다는 점을 환기하는 동시에 돌출 변수에 대해선 신속하게 책임졌다는 점을 부각하며 정면 대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X
오전 청문회 마친 강선우 후보자[연합뉴스 제공]
한편 대통령실은 강 비서관 사퇴로 인사 논란을 일단락 지으려는 모양새이지만, 강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으로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이날 중 국회에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 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할 계획이다.
보좌진 대상 갑질 논란에 더해 장관 대상 예산 갑질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고, 야당은 물론 여성계 및 민주노총 등 현 정부의 최대 우군인 시민사회계의 임명 철회 요구가 계속되는 등 여진이 이어지는 점은 부담이다.
대통령실 입장에선 인사 검증 부실 책임론이 계속 이어질 경우 각종 개혁 과제가 산적한 새 정부의 임기 초반 국정 동력에도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향후에도 여론 추이를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여권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대통령이 여러 가지를 다 감안하고서 강 후보자를 임명하기로 결단한 것인 만큼 향후 인사 번복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며 "정리할 것은 정리하고 지킬 것은 지키며 상황을 돌파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