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건물로 가득찬 서울시 전경 / 사진 연합뉴스 제공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지난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을 소유한 30대는 3년 연속 줄어들며 주택 소유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1만7,215가구 증가하며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잠시 감소했지만,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가 이어졌다. 특히 증가 폭은 2021년 3천 가구대 → 2022년 1만5천 가구대 → 2023·2024년 1만7천 가구대로 점차 커졌고, 지난해 증가 폭은 역대 가장 큰 수준이다.

반면 서울의 30대 집주인은 줄고 있다.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18만3,456가구로 전년 대비 7,893가구 감소,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었다. 무주택 가구는 주택 소유 가구보다 2.9배 많아 격차 역시 최대 폭으로 벌어졌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2015년 약 23만7천 가구 수준이었지만 꾸준한 감소세가 이어졌고, 2023년에는 ‘20만 선’이 무너졌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율은 25.8%로 떨어졌다. 2015년 33.3%였던 소유율은 2020년 30.9%, 2022년 29.3%로 하락한 데 이어 지난해 결국 25%대까지 추락했다.

전국 30대 주택 소유율 또한 36.0%로 6년째 하락하며 역대 최저 수준을 보였지만, 서울과는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다. 서울은 높은 집값과 공급 부족, 대출 규제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혼인·출산 시기 지연, 1인 가구 증가, 청년층 소득 정체 등이 주택 구매를 늦추는 주요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 최근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대출 규제가 더해지며 ‘현금이 없으면 집을 살 수 없다’는 청년층의 체감이 심화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토지주택연구원이 만 19~39세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청년층이 원하는 주거 정책은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과 ‘전세자금 지원’(22.3%)이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확대(14.4%)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주거 안정과 자산 형성을 위한 정책 수요가 커지는 가운데, 서울 30대의 주택 소유율 하락은 앞으로 청년 주거 정책의 방향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