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선 노선도 / 서울시 제공

서울 양천구 목동아파트 재건축이 속도를 내면서 교통 인프라 확충 요구가 커지고 있다. 14개 단지 모두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가운데, 재건축 완료 시 인구 10만 명에 육박하는 ‘신도시급 규모’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최재란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지난 28일 열린 제332회 임시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양천구는 교통 소외가 심각하다”며 “목동선·강북횡단선 등 도시철도망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강북횡단선 노선도 / 서울시 제공

최 의원은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양천구는 통근 시간이 가장 길고, 도시철도역이 3개 이상 있는 동의 비율은 ‘0’에 불과하다”며 “도보 10분 이내 철도 접근이 어려운 행정동도 가장 많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연구원 조사 결과를 인용해 “출퇴근 왕복 2시간은 월 약 188만 원의 기회비용을 발생시킨다”며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경제적 손실이자 삶의 질을 위협하는 문제”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오세훈 서울시장은 “목동선은 현재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절차가 문제인데, 재건축으로 세대 수가 2배 가까이 늘면 경제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며 “강북횡단선보다도 유리하게 평가될 수 있어 조속히 재추진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최 의원은 “교통대책이 재건축 완료 후 뒤따르는 방식은 문제”라며 “인프라는 선행적으로 구축돼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오 시장은 “정비구역 지정과 사업시행인가 절차 사이 2~3년의 공백기에 예타 반영 절차를 서둘러 재건축 완료 전에 충분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또 “민자사업은 협상 지연, 공사비 상승 등으로 사업성이 떨어지는 악순환을 겪어왔다”며 “목동선이 어렵게 재정사업으로 전환된 만큼, 서울시가 강한 의지를 갖고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제3차 철도망 계획에 목동선과 강북횡단선을 반드시 반영해 조정·보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 의원은 끝으로 “교통 소외 해소와 지역균형발전, 그리고 재건축에 따른 폭발적 인구 증가 대비는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라며 “서울시는 적극적인 행정으로 목동선과 강북횡단선 조속 추진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