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6일 홍철호 전 대통령실 정무수석을 소환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오후 1시30분께부터 홍 전 수석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특검팀은 홍 전 수석을 상대로 비상계엄 선포 전후 상황과 정진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을 비롯한 대통령실 관계자들의 당시 행적 등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홍 전 수석은 앞서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조사에서 계엄 선포 전 상황에 대해 진술한 바 있다.
그는 당시 "대통령이 '저를 설득하지 말라'인지 '저한테 설명하지 말라'는 멘트를 했고 비서실장이 '비상계엄을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며 "대통령의 말이 먼저인지 선후관계는 기억나지 않지만 이때 계엄이라는 단어를 듣고 비상계엄을 준비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는 취지로 말했다.
내란 특검팀은 이날 오전 김대경 전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과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총장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김 전 본부장은 계엄을 사전 모의한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지급하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특검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선포 전날인 지난해 12월 2일 대통령경호처에서 비화폰을 지급받은 뒤 이를 내란 공범이자 민간인인 노 전 사령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용자명이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된 비화폰은 대통령, 1부속실장, 수행실장, 경호처장, 경호차장, 국방부 장관과 통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는데, 김성훈 경호처 전 차장이 김 전 본부장에게 지시해 이같이 설정된 비화폰 1대를 건네받고 전달했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수사 결과다.
특검팀은 김 전 본부장을 상대로 계엄 사태 이후 윤 전 대통령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육군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의 비화폰 삭제를 지시한 의혹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김 총장에게는 계엄 사태 때 한예종이 학교를 폐쇄하고 학생들을 귀가 조처한 경위 등을 묻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인촌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당시 한예종 폐쇄에 문체부가 관여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자 "'출입 통제를 하는 것이 좋겠다'는 정부 당직 총사령의 전파사항을 문체부 당직자가 소속기관에 연락한 것 같다"며 "한예종뿐만 아니라 전통문화대학 등 문체부 산하 공공기관과 소속기관에 (정부 당직 시스템에 따라) 전통(전화통지)이 내려간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