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 개통 예정인 공식명칭 '청라하늘대교'로 잠정 결정된 제3연륙교 공사 현장 모습

지난 28일 인천시 지명위원회가 제3연륙교의 공식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의결한 가운데, 영종지역 주민들과 중구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영종 주민들은 “섬과 연결되는 연륙교 특성상 ‘영종’ 지명이 포함돼야 마땅하다”며 지명위의 결정을 부당하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김정헌 인천 중구청장은 “청라하늘대교는 청라의 지명만 반영한 일방적인 결정으로, 영종 주민에게 부당하다”며 “합당한 명칭이 정해질 때까지 공식 이의 제기를 포함한 모든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중구는 ‘영종하늘대교’라는 명칭을 구민 공모와 전문가 심사, 주민 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 인천시에 상정했지만, 시 지명위원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중구는 이에 대해 “지역 정체성과 이용 주체, 국내 연륙교 명명 사례 등 기본 원칙을 무시한 행정편의적 결정”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연륙교의 66%가 섬 지명을, 31%가 제3의 명칭을 사용하는 가운데, 육지를 따른 명칭은 단 3%에 불과하다. 인천 내 기존 연륙교인 ‘강화대교’와 ‘강화초지대교’ 역시 섬(강화도)의 명칭을 따르고 있다.

영종총연합회 김요한 정책위원장은 “국내 대부분 연륙교는 섬 이름을 따르는 것이 상식”이라며 “청라하늘대교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이름”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청라지역 주민들 또한 이번 명칭 결정에 불만을 드러냈다. 청라시민연합은 “이미 제1연륙교로 ‘영종대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또다시 ‘영종’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지역 정체성을 흐릴 수 있다”며 “중립적 명칭도 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양측 주민단체 모두가 지명위의 결정에 이의 제기를 예고하면서 제3연륙교 명칭을 둘러싼 갈등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한편, 제3연륙교의 또다른 뇌관인 통행료 부과 계획도 논란의 불씨를 키우고 있다. 지난 21일 영종·청라 주민 및 시민단체들은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들은 “제3연륙교는 LH의 택지개발분담금과 인천시 예산 등으로 건설 중이며 LH의 분담금은 조성원가에 포함돼 영종·청라 입주민이 분양대금으로 선납을 했고 인천시도 재정으로 약 1천억원을 투입했다”고 밝혔다. 또한 “분양대금에 포함시켜 제3연륙교 건설비를 납부한 지역 주민들에 대한 실질적인 혜택이 없다”고 비판했다.

현재 인천시는 영종·청라 주민에게 1일 1회 무료 통행을 허용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주민들은 “분양대금에 이미 반영된 비용을 다시 통행료로 납부하라는 것은 분양대금 선납, 세금 투입, 통행료 납부로 이어지는 삼중 과금 구조라고 말도 안되는 것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면서 전면 무료화를 요구하고 있다.

중구청과 영종 주민단체는 향후 국가지명위원회 심의 절차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가운데, 제3연륙교 명칭과 통행료 문제는 단순한 교량 명칭을 넘어 지역 간 갈등, 행정 형평성 논쟁으로 비화될 조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