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건희 여사(왼쪽)와 '건진법사' 전성배 씨 [연합뉴스 제공]
김건희 여사가 통일교 측으로부터 샤넬 가방을 선물 받고서 통일교 인사에 연락해 "정부 차원에서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취지의 말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연합뉴스가 확보한 김 여사의 공소장에 따르면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구속기소)씨는 2022년 4∼7월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거쳐 각각 802만원과 1천271만원 상당의 샤넬 가방, 6천220만원 상당의 그라프 목걸이를 김 여사에게 선물했다.
구체적으로 전씨는 4월 7일 경기 가평 통일교 운영 카페에서 윤씨로부터 샤넬 가방과 농축차를 전달받았고, 김 여사는 그 무렵 전씨로부터 윤씨의 청탁과 함께 해당 금품을 전달받은 것으로 공소장에 적시됐다.
전씨는 같은 달 23일 김 여사에게 '비밀리에 통일교와 접촉할 것'을 제안하고, 사흘 뒤에는 김 여사에게 윤씨의 'UN 제5사무국 한국 유치 청탁 관련' 메시지를 보내는 등 통일교의 청탁 내용을 전달했다는 게 특검팀 조사 내용이다.
석 달 뒤 1천271만원 상당 샤넬백 전달이 이뤄지고선 김 여사가 통일교 측 인사에 전화해 감사 인사도 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윤씨가 6월 26일 전씨에게 선물 공여 의사를 전달하자 전씨는 김 여사의 나토 순방 일정을 언급하며 윤씨에게 '7월 1일에 돌아오니 그다음 주에 연락을 달라'고 답변했다고 한다.
이후 윤씨는 7월 5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전씨를 만나 'UN 제5사무국 한국 유치 지원 등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와 관련해 통일교의 각종 대규모 프로젝트와 행사에 대한민국 정부의 조직, 예산, 인사를 지원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샤넬백 등을 전달했다.
특검팀은 그 무렵 김 여사가 이런 청탁과 함께 샤넬백을 받았다고 공소장에 적시했다. 이후 윤씨가 전씨에게 김 여사의 반응을 묻자 전씨는 김 여사의 긍정적인 반응을 전달하며 "곧 김 여사의 전화 연락이 있을 예정"이라고 알렸다.
특검팀에 따르면 김 여사는 실제 7월 15일 윤씨에게 전화해 샤넬백 제공에 대한 감사 인사와 함께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 통일교에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한다.
같은 달 24일 전씨는 재차 윤씨로부터 '김 여사에게 고가 금품을 전달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받고선 윤씨에게 "제공하는 금품을 언제든지 김 여사에게 전달하겠다"는 취지로 답했다고 한다.
특검팀에 따르면 윤씨는 닷새 뒤 서울 광진구 한 호텔 식당에서 전씨에게 "통일교가 추진하는 국제행사인 서밋 2022&리더십 콘퍼런스에 교육부 장관이 예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6천220만원 상당의 그라프 목걸이를 전달했고, 이 목걸이는 김 여사에게 전달됐다.
이후 전씨는 김 여사의 반응을 묻는 윤씨에게 "여사님이 큰 선물이라고 놀라셨지만 별다른 말씀이 없어요"라고 전했다고 한다.
특검팀은 이런 김 여사의 구체적 범죄사실과 함께 김 여사의 신분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배우자로서 대통령의 직무에 해당하는 각종 국정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사람"이라고 못 박기도 했다.
앞서 김 여사는 특검에 출석할 당시 자신을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라고 칭한 바 있다. 몸을 낮춰 사과하는 외관을 취하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공적인 신분이 없으므로 특정 신분을 가진 사람, 즉 공직자에게만 적용되는 신분범 범죄인 뇌물죄 등을 피해 가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일단 특검팀의 앞선 기소에선 알선수재 혐의가 적용됐다.
특검팀은 또 윤씨가 한 총재로부터 김 여사 선물에 대한 승인을 받은 후 선물을 전달했다고 판단해 이런 내용 역시 공소장에 포함했다.
X
고개 숙인 김건희 여사[연합뉴스 제공]
특검팀은 김 여사와 건진법사, 통일교 측이 관계를 유지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도 상세히 적시했다.
특검팀은 윤씨가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을 통해 윤 전 대통령과 통일교 간 창구를 만들었지만, 한학자 총재의 승인 아래 전씨를 통해 김 여사에게도 통일교 지원을 요청할 '투트랙'을 만들기로 하고 명품 가방 등을 선물하며 친분을 형성했다고 판단했다.
실제 한 총재의 정교일치 이념 실현과 통일교의 영향력 확대 목표 달성을 위해 윤석열 당시 후보에 대한 통일교 차원의 조직적 지원이 이뤄졌고, 당선 이후 김 여사와 통일교 간 정권 유착 관계가 심화했다는 게 특검팀 시각이다.
공소장에는 "김 여사와 전씨는 20대 대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선되는 데에 통일교의 도움이 매우 컸으므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상생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공통된 인식 아래 전씨가 김 여사를 대신해 통일교를 접촉해 그와 같은 관계를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는 내용이 적시됐다.
이에 따라 김 여사는 당선 이후인 2022년 3월 30일 윤씨에게 전화해 "대선을 도와줘서 고맙다, 총재님께 인사드리겠다, 앞으로 건진법사와 의견 나눠 달라, 많이 도와달라"는 말도 전했다고 한다.
이같이 김 여사가 윤씨에게 전씨에 대한 신뢰를 부여하는 한편, 향후 통일교 측의 필요한 요청에 대해서는 전씨와 논의해달라는 취지로 말했다는 게 특검팀 시각이다.
전씨 역시 같은 날 통일교 관계자에게 전화해 이런 김 여사와 윤씨 사이의 통화 내용을 전달하며 "향후 통일교에 은혜를 갚겠다. 통일교 측은 내가 책임지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