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2일 열린 제332회 임시회 미래한강본부 업무보고에서 서울시가 추진 중인 ‘한강버스 정식 운항 계획’을 두고 “충분한 검증 없는 졸속 행정”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의원은 앞서 제3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도 ▲한강버스 사업의 연이은 운항 연기 ▲막대한 예산 낭비 ▲안전성 검증 미흡 등을 지적한 바 있다. 그는 이번 업무보고에서도 “세계 최초 대용량 전기추진체 선박을 운항·충전·배터리 관리 시뮬레이션조차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출퇴근 시간대에 곧바로 투입하는 것은 시민 안전을 경시한 무모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출근 시간대 이용 비효율성과 기존 대중교통 대비 경쟁력 부족 문제를 지적하며, “급행 노선 중심의 시범 운항과 다양한 시간표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적인 노선 운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현재 ‘15분 간격 운항, 40분 충전’만으로 정시 운항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지만, 이 의원은 겨울철 한강 환경에서 전기 배터리 방전 가능성과 돌발 상황 위험을 경고했다. 그는 “접안·이안 같은 기본 운항 기술, 급속 충전 시 배터리 관리, 겨울철 비상 대응 능력 등이 전혀 검증되지 않았다”며 “철저한 시범 운항 없이는 시민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서울시의 정식 운항 계획은 사실상 시민을 대상으로 한 실증 테스트에 불과하다”며 “첫 사고라도 발생한다면 서울시 전체의 신뢰도에 치명적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며 성급한 개통 일정을 조정할 것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현장 검증과 운항 숙련도 확보 없이 정식 운항을 강행하는 것은 시민 안전을 담보로 한 위험한 도박”이라며 “서울시는 최소 한 달간 철저한 시범 운항과 실전 훈련, 데이터 축적 후 시민 승선 서비스를 시작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이라는 명분이 시민 안전보다 우선할 수 없다”며 “진정한 혁신은 철저한 안전 검증 위에 세워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