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민수사대 출범식 축사하는 전한길 씨 (연합뉴스 제공)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에 앞장선 극우 성향의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의 국민의힘 입당을 두고 반발이 잇따르자 당 지도부가 '당헌·당규에 따른 조치'를 시사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18일 페이스북에서 "전씨에 대해 여러 의견을 경청·수렴하고 있다"며 "그의 언행에 대한 확인과 함께 당헌·당규에 따른 적절한 조치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비대위원장으로서 여러분의 우려를 잘 알고 있다"며 "당이 다시 국민의 신뢰와 사랑을 받도록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송 비대위원장이 언급한 '당헌·당규에 따른 조치'는 출당·윤리위원회 회부·당원자격심사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날 '한 개인 입당에 호들갑 떨 것 없다'고 한 송 비대위원장이 반발 여론을 고려해 강제 조치 가능성을 열어놓는 방향으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당헌·당규에 위배되는 행동을 하면 출당시키거나, 윤리위를 열거나, 당원자격 심사를 할 수도 있다"며 "여론을 고려해 다양한 방식을 열어둔 것"이라고 전했다.
전씨는 지난 달 8일 전유관이라는 실명으로 온라인 입당을 신청했고, 국민의힘 서울시당이 다음 날 승인했다.
전씨는 윤 전 대통령 탄핵·구속에 극렬하게 반대한 '아스팔트 극우'의 대표적인 인물로, 윤 전 대통령이 구속된 뒤에도 부정선거 음모론을 퍼뜨리고 있다.
전씨는 지난 16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한길을 품는 자가 당 대표가 된다"며 다음 달 22일 예정된 전당대회에 자신을 따르는 극우 세력의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내기도 했다.
탄핵 반대론을 이끌던 전씨의 입당을 두고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과 당내 혁신을 주장하는 비주류 인사를 중심으로 반발 여론이 빗발쳤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전 씨 입당에 대해 "과거 입당을 거절한 사례 있다"며 "전한길 강사가 이렇게 우리 당의 당원으로 들어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친한(친한동훈)계에 속하는 박정하 의원도 SBS 라디오에서 "당 전체적으로 이어오는 정신이라는 것이 있다"며 "지금이라도 당원 자격을 심사하면 되고, (출당·탈당) 방법을 찾으면 얼마든 할 수 있고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연욱 의원은 페이스북에 "대선 패배 후 계엄과 탄핵의 강을 건너겠다는 약속은 어디로 갔나"라며 "지도부 약속이 진심이었다면 지금이라도 전씨를 출당해야 한다"고 적었다.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페이스북을 통해 "불법계엄 단절이 보수 재건의 전제인데도 이를 호들갑으로 치부한다면 당의 미래는 없다"며 "자정 작용이 아닌 분골쇄신하는 혁신이 간절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