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성북동 별서' 내 송석정서 화재[성북구청 제공]
30일 서울 성북구 소재 명승인 '성북동 별서' 구역 내 목조 건물 송석정에서 불이 나 소방당국이 3시간이 넘도록 진화 중이다.
소방당국은 이날 낮 12시 45분께 성북동 별서 구역 안의 한옥 건물에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는 신고를 받고 장비와 인력을 현장에 급파했다. 또 오후 1시43분 대응 1단계를 발령했다.
당국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화재로 인해 기둥이 심하게 탄 것으로 확인됐으며 지붕 내부의 기와 위쪽에서 연기가 발생해 지붕 파괴 및 진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파괴 진화'하도록 조치했다.
송석정의 기와 아래가 석회로 된 탓에 물이 침투하지 않아 지붕을 해체해야 한다는 것이 소방당국 설명이다. 화재 현장에는 굴착기와 포크레인 등이 동원됐다.
불은 송석정의 오른쪽 뒷면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원인은 조사 중이다.
이 불로 송석정 내부의 의자, 탁자 등 집기류 약 60%가 소실됐고, 나머지 40%는 외부로 반출됐다.
현재까지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X
'성북동 별서' 내 송석정서 화재…피어오르는 연기(연합뉴스 제공)
불이 난 송석정은 1950년대에 신축된 건물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송석정은 개인 소유 건물로, 시에서 매입을 준비 중이다. 성북동 별서 전체가 명승으로 지정돼 있어 종합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와 국가유산청은 이에 따라 예산을 투입하는 등 함께 복구에 나설 계획이다.
성북동 별서는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정원이다.
별서는 살림하는 곳 외에 경치 좋은 곳에 지어 때때로 묵으면서 쉬는 집을 뜻한다.
예부터 경치가 좋은 곳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현재 얼마 남지 않은 조선시대 민가 정원으로서 학술 가치를 인정받아 2020년 명승으로 지정됐다.
이곳은 앞서 '성락원'(城樂園)이라는 명칭으로 2008년 명승에 올랐으나, 조성자를 두고 부실 고증 논란이 인 바 있다.
'조선 철종 대 이조판서 심상응'이 소유했다고 알려졌으나 심상응은 존재하지 않은 인물로 확인됐고, 조선 고종 때 내관이자 문인인 황윤명(1844∼1916)이 조성자로 밝혀졌다.
X
화재로 통제되는 '성북동 별서' 진입로(연합뉴스 제공)
X
명승 '성북동 별서' 내 송석정 화재(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