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42주년을 맞은 10일 SK하이닉스[000660]의 주가가 개장 직후 42만원을 돌파하며 사상 처음으로 시가 총액이 300조원을 넘어섰다. 이에 힘입어 SK그룹 시총도 400조원을 경신했다.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리더십,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협력 모멘텀 등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X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

[연합뉴스 제공]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8.22% 오른 42만8천원에 장을 마감했다.

SK하이닉스 주가는 개장과 함께 42만6천원으로 시작해 장 중 한때 43만9천250까지 상승, 44만원에 육박하기도 했다.

장 마감 기준 이날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311조5천850억원으로 창립 이래 처음으로 30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 6월 시가총액 200조원을 처음 넘어선 뒤 4개월여만에 '300조 돌파' 신기록을 세운 것으로, 작년 말(126조6천억원)과 비교하면 1년이 채 되지 않아 180조원 이상 불어났다.

1983년 10월 경기도 이천 부지에 5인치 웨이퍼 규모의 팹(공장)을 착공해 반도체 생산에 나선 SK하이닉스(당시 현대전자)는 2012년 SK그룹에 인수됐다.

인수 직전인 2011년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약 13조원 수준이었으나 이후 꾸준히 우상향해 2021년 1월에는 100조원을 넘어섰다.

같은 해 3월 110조원까지 올랐던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메모리 시장의 다운턴(하락 국면)으로 2023년 3월에는 55조원대로 하락하기도 했다.

이후 SK하이닉스는 제품과 기술 개발에 매진,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에 나섰다.

특히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AI 메모리 선두 기업으로 자리매김에 성공하면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글로벌 D램 시장 1위를 차지하는 등 기업 가치 성장세에도 속도가 붙었다.

아울러 최근 반도체 업턴(상승 국면) 흐름과 차세대 HBM인 HBM4(6세대) 양산체제 구축, 오픈AI와 글로벌 AI 인프라 파트너십 등이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탰다.

SK하이닉스의 성장에는 주변의 반대에도 3조4천267억원을 들여 SK하이닉스 인수에 나선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뚝심 있는 투자'도 한몫했다. HBM의 핵심인 실리콘관통전극(TSV) 기술 확보에도 최 회장의 역할이 주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X
발언하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연합뉴스 제공]

현재 50% 이상의 점유율로 HBM 시장 최대 공급자 지위를 가진 SK하이닉스는 'AI 큰손'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빅테크에 대부분의 HBM 물량을 공급하고 있다.

올해 HBM 물량을 이미 '솔드아웃(완판)'한 상태이며, 내년 물량 계약도 협상을 진행 중이다.

HBM4도 최근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양산 체제를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지난 3월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HBM4 샘플을 공급했으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공급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또 SK하이닉스는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청주 M15X, 미국 인디애나주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장 등 미래 생산 거점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글로벌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증권가에서는 SK하이닉스의 3분기 실적 눈높이를 상향 조정하는 분위기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1개월 내 보고서를 낸 증권사 14곳의 실적 컨센서스(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SK하이닉스의 3분기 영업이익은 11조1천5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3분기 매출액 전망치는 38.1% 증가한 24조2천715억원이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메모리 환경은 제한적인 공급 상황 속에서 강력한 수요로 기대 이상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하고, 내년 D램 평균판매단가(ASP)는 기존 12.6%에서 19.2%로 상향 조정이 예상된다"며 "AI 데이터센터향 투자 및 주문형 반도체(ASIC) 수요 증가에 따른 HBM 총잠재시장(TAM) 확대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도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X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개발완료 및 양산체제 구축 (서울=연합뉴스) SK하이닉스는 초고성능 인공지능(AI) 메모리 신제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4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양산 체제를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고 12일 밝혔다. 사진은 SK하이닉스가 양산체제를 구축한 HBM4. 2025.9.12 [SK하이닉스 제공]

한편 SK하이닉스의 선전으로 SK그룹 전체 시총은 이날 장 마감 기준 418조6천694억원 기록했으며 장중 420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이는 지난 2004년 당시 약 25조원보다 16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또 삼성이 2017년 3월 시총 400조원을 넘어선 이래 국내 그룹으로는 8년 만이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가 확보한 반도체 리더십을 앞세워 AI 산업에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오는 2030년까지 반도체와 AI 등 분야에 82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SK그룹 관계자는 "SK가 추구하는 성장은 단순히 외형만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기여하는 모델"이라며 "기업과 지역사회, 기업과 국가 경제, 국가와 국가 간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성장모델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역할을 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X
[그래픽] SK하이닉스 시가총액 추이

[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