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특검 향하는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연합뉴스 제공]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14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 도피성 출국' 의혹과 관련해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이날 낮 12시 59분께 서초동 특검사무실에 출석한 이 전 비서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 전 장관 호주대사 임명을 준비하라고 지시했나', '안보실에서 방산 공관장회의를 급히 기획했나' 등 질문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이 전 비서관은 2023년 7월 채상병 사망 사건 당시부터 작년 3월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시기에 안보실에서 외교비서관을 지냈다.

특검팀은 이 전 비서관을 상대로 이 전 장관 호주대사 임명 추진과 귀국 과정 등에서 안보실이 관여한 부분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이 전 장관에게 귀국할 명분을 주고자 급조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방산 협력 공관장 회의가 안보실 주도로 기획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이 전 장관은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선상에 올라 출국금지 조처가 내려졌지만 지난해 3월 4일 윤 전 대통령에 의해 호주대사에 임명됐다.

그로부터 나흘 뒤 8일 법무부의 출국금지 해제로 호주로 떠났다가 여론이 급격히 악화하자 그달 25일 열리는 방산 협력 공관장회의에 참석한다는 명분으로 귀국했다. 이 전 장관은 같은 달 29일 사임했다.

특검팀은 해당 의혹과 관련해 오는 17일 당사자인 이 전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X

질문에 답하는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연합뉴스 제공]

채상병 사건 당시 국방부 2인자였던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은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해 이날 3차 피의자 조사를 받고 있다.

이날 오후 1시께 출석한 신 전 차관은 '윤 전 대통령이 직접 기록 회수 상황을 점검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특검에) 사실대로 얘기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와 군을 위해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재차 말했다. '대통령이 박정훈 대령 보직 해임을 지시했는지'에 대해선 "그런 적이 없다"고 답했다.

특검팀은 신 전 차관을 상대로 'VIP 격노'로 시작돼 대통령실과 국방부로 내려진 수사외압의 구체적인 내용과 경로, 신 전 차관의 이행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다.

신 전 차관은 앞서 지난 10일과 11일 이틀 연속 피의자로 출석해 조사받았다.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모해위증 등 혐의 피의자 신분인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도 이틀 만에 재소환돼 조사받고 있다.

김 전 사령관은 채상병 사건을 초동 조사한 박정훈 대령에게 이른바 'VIP 격노설'을 처음으로 전달한 인사로,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시작된 수사외압 의혹을 풀 '키맨'으로 지목돼왔다.

김 전 사령관의 특검 조사는 이번이 네 번째다. 지난 7월 두차례 소환조사를 받고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가 기각됐고 이후 지난 12일 다시 불려나와 조사받았다.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의 입장을 재확인하는 한편 그동안 확보한 관련자 진술을 토대로 구체적인 외압 정황을 캐묻는 등 혐의 다지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사령관은 그간 특검 조사에서 VIP 격노설에 관한 진술을 거부하거나 관련 내용을 부인했으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서 입장을 뒤집어 격노설을 인정한 바 있다.

X
특검 향하는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

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