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광역시장과 인천 지역 국회의원들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천 철도혁명을 위한 국회 토론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인천시 제공
인천광역시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철도망 확충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열었지만, 시민들은 “이번에도 말잔치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인천시는 8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인천 철도 혁명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에는 맹성규, 김교흥, 배준영, 정일영, 이용우, 모경종 의원 등 인천 지역구 의원들이 참석해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반영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제는 ▲인천발 KTX 인천공항 연장 ▲GTX-D·E노선 신설 ▲대장홍대선 청라 연장 ▲경인전철 지하화 등 인천 시민들이 수십 년간 요구해온 숙원 사업들이다. 그러나 이들 과제는 매번 정부 계획에서 후순위로 밀려난 탓에 ‘인천 철도 소외론’이 반복적으로 제기돼 왔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축사에서 “철도 확충은 단순한 교통 편의가 아니라 인천과 대한민국 미래를 여는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지만, 정작 실행력을 담보할 구체적 대책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발제를 맡은 김종형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천발 KTX를 공항까지 연장해 글로벌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2018년 여름 인천공항행 KTX 운행 중단 당시 전국 지자체가 재개를 요구한 것은 그만큼 수요가 크다는 방증”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올 연말 국가 계획에 반영되지 못하면 또다시 내년 지방선거용 ‘공수표’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인천시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중앙정부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시민들 사이에서는 그간 인천 패싱을 겪어온지라 “매번 계획만 세우다 결국 철도망은 서울·경기 중심으로만 확대되는 것 아니냐”는 불신이 여전하다.
지금까지 세 차례나 개통이 연기된 상태인 인천발 KTX 직결사업(송도역 연결)은 현재 2026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5년 개통목표인 GTX-D·E노선 신설 사업은 올 1월에 정부 안으로 확정만 된 상태로 구간별 개통을 추진한다는 밑그림만 잡고 아직 예비타당성 조사 단계도 시작되지 않았다.
대장-홍대선 청라 연장(서울 2호선 연장) 사업 또한 유정복 시장과 일부 인천시민단체들은 계양역·청라연장을 추진중인데, 윤환 계양구청장은 박촌역 연장으로 배수의 진을 치고 내년 지방선거때까지 인천시와 끝장승부를 볼 태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