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아시아 대기질 공동 조사' 일환으로 작년 2월 26일 대기질 측정 장비가 설치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연구용 DC-8 항공기가 서울 도심 위를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겨울철 국내 초미세먼지(PM2.5) 절반 이상은 중국에서 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 국제공동 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초미세먼지의 55%는 중국발이었고, 국내에서 발생하는 것은 29%를 차지했다.
이 보고서는 작년 2∼3월 과학원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진행한 '아시아 대기질 공동 조사'(ASIA-AQ)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진은 7개 대기화학수송모델 분석 결과를 평균해 국내 초미세먼지의 기원이 어디인지 제시했다.
조사 기간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지역은 예상대로 중국이었다.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에서 중국 기여도는 기간별로 최소 36%에서 최대 71%로, 조사 기간 평균 55%였다. 중국 기여도가 최소인 시간은 대기가 청정했던 '작년 2월 15일부터 3월 2일까지'였고 최고인 기간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작년 3월 3∼8일'이었다.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 중국 중에서도 베이징·톈진·허베이 등 화북지역과 허난·후베이·후난 등 화중지역 기여도가 특히 높았다.
눈길을 끄는 점은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지도 낮지도 않았던 작년 3월 9∼31일 중국의 기여율이 약 60%에 달한 점이다. 한반도 초미세먼지 농도에 국외 영향이 절대적으로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국내 인위적 행위에 의해 배출되는 초미세먼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최소 16%에서 최대 43%로 조사 기간 평균 29%였다.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았고 그렇다고 중국에서 들어온 것도 아닌 미세먼지는 많아야 21% 미만으로, 중국에서 월경해 들어오는 먼지와 국내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국내 초미세먼지 주원인으로 분석됐다.
한국과 중국 모두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고 있다.
한국의 지난해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15.6㎍/㎥로, 2016년 26㎍/㎥에 견줘 40% 낮아졌다.
중국은 전국 339개 도시 2023년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30㎍/㎥로, 2016년 47㎍/㎥보다 36% 정도 옅어졌다.